본문 바로가기
대학 입시

[독서록] '미적분의 쓸모' 독후감 예시

by 바이오 노마드 (Bio-Nomad) 2023. 10. 30.
반응형

'미적분의 쓸모' 독후감 예시
'미적분의 쓸모' 독후감 예시

~ 수업 시간에 배운 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실생활 속 현상을 미분과 적분을 활용한 수학적 설계 과정을 거쳐 공식으로 일반 화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어 이에 대해 보다 더 확장된 탐구를 하기 위해 <미적분의 쓸모 : 미래를 예측하는 새로운 언어>를 읽게 되었습니다.

 

수학적 모델링은 공식을 통해 현상을 일반화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보니 아무래도 수학적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데에는 필수 적인 기술이라는 점에서 이 책의 핵심적인 설명 요소와의 연결 고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로켓의 발사나 과속단속카메라의 차량 속도 측정 기술 등과 같이 많이 접해본 현장 속 미래 예측을 넘어서 딥러닝이나 단층 촬영기술, 경제예측, 기상 예보 등과 같이 미적분을 통한 미래 예측이 어떻게 가능할지 의문을 들게 하는 것들도 많아 재미있게 배우면서 읽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이 다양한 분야들 중에서 가장 흥미롭게 읽었던 부분은 주식시장을 분석한 것이었습니다. 미적분을 통해 주식을 분석할 수 있으리라고는 전혀 예상치도 못했기 때문에 저자의 신선한 접근 방식이 놀라웠습니다. 저자는 적분 투자, 즉 분할 매수를 강조함과 동시에 미분 투자의 불필요성을 내세웠습니다. 사실 미분을 적용하게 되면 그 결과값의 양수, 음수 구분에 따라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기뻤던 나에게 실망을 주었습니다.

미적분의 쓸모

이는 주식 그래프가 단발적으로 일어나는 개별적인 매도와 매수의 계약의 연속인 주가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미분을 통해 그래프의 기울기를 구하는 것은 아무 상관이 없으나, 어차피 단발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보니 기울기를 계산하는 것을 넘어서 기울기를 예측하는 것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기울기보다는 그 밑면적, 즉 적분을 활용한 적분 투자의 필요성에 관심이 가게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미적분이 디즈니 영화 속에서, 아마존의 인공지능 기술 속에서 녹아드는 모습을 직접 보니 지금 제가 배우는 미적분학에 감사함이 느껴졌고, 어렵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진심을 다해 다루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또한, '과거를 적분하면 현재가 보이고, 현재를 미분하면 미래가 보인다'는 한화택 교수님의 세상과 사회, 자연현상의 변화를 미적분을 이해하자는 의도가 담긴 문구가 이 책 속에서 가장 저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기억에 남은 문구였습니다. 이 책을 읽기 전, 단순히 공학계열 관련된 학문 속에서만 사용될 줄만 알았던 미적분에 대한 나 자신의 오해를 풀고, 그 다방면적인 활용 가능성을 체감하여 미적분의 매력을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