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 입시

[의약학, 윤리] 의료윤리의 4대 원칙

by 바이오 노마드 (Bio-Nomad) 2024. 4. 1.
반응형

[의약학, 윤리] 의료윤리의 4대 원칙

 

의료윤리의 4대 원칙(자율성, 악행금지, 선행, 정의)에 대한 고찰.

1) 자율성

의사의 의학적 판단이 혹시 다른 2차적 이득에 좌우되지는 않았는가, 혹은 충분한 설명을 통해 완벽한 환자의 동의를 얻어 사후 오해나 갈등의 여지를 최소화하고 있는가

2) 악행 금지

의사는 미리 인지한 경우는 물론 무지와 태만을 포함하여 환자에게 불필요하거나 해가 될 일은 하고 있지는 않은가

3) 선행

의사는 자기 분야에서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의사가 해야 하고,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고 있는가

4) 정의

제한된 비용과 자원을 보다 많은 이들을 위해 배분하고자 고민하고 노력하고 있는가(정의)

의료윤리의 4대 원칙
의료윤리의 4대 원칙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이 원칙은 개인은 누구나 자신의 일을 결정할 자율권을 가지며, 그것이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어느 누구도 그 권리를 침해받아서는 안 된다는 원리이다.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동의(informed Consent)가 환자의 자율성 보장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의사는 자율성 존중 원칙에 의해 정보 공개, 동의 획득, 신뢰성, 사생활 보호 등의 의무를 환자에게 지고 있다.

▲악행금지의 원칙 : 피해를 주는 일에는 의술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원칙이다. 악행(피해)이란 넓게는 명예, 재산, 사생할, 자유 등의 훼손을 의미하나 좁은 의미로는 신체적 심리적 이해관계의 훼손을 말한다. 의사에게 요구되는 살인 하지 말라, 고통을 가하지 말라, 불구로 만들지 말라, 재화를 빼앗지 말라 등으로 더 구체화 될 수 있다.

▲선행의 원칙 : 선한 일을 위해 의술을 사용하라는 것이다. 온정적 간섭주의(paternalism)가 관여된다. 악행금지의 원칙이 어떤 행위를 하지 말라는 소극적 의미를 가진다면, 선행의 원칙은 어떤 행위를 하라는 적극적인 의미를 가진다.

▲정의의 원칙 : 모든 재화의 분배는 정의롭게 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식할 장기를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를 정하는 문제가 여기에 해당된다. 우리가 진료현장에서 부딪히는 윤리적인 문제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결정을 해야 할지 위 4개 원칙에 상황을 대입시켜보면서 원칙에 부합하는지 어긋나는지 생각해보면 해답이 쉽게 떠오르게 된다.

반응형